트리 (Tree) 구조

- 트리 : Node와 Branch를 이용해서, 사이클을 이루지 않도록 구성한 데이터 구조

- 트리 중 이진 트리 (Binary Tree) 형태의 구조로, 탐색(검색) 알고리즘 구현을 위해 많이 사용된다.

 

용어

- Node : 트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요소

- Root Node : 트리 맨 위에 있는 노드

- Level : 최상위 노드를 Level 0으로 하였을 때, 하위 Branch로 연결된 노드의 깊이를 나타냄

- Parent Node : 어떤 노드의 다음 레벨에 연결된 노드

- Child Node : 어떤 노드의 상위 레벨에 연결된 노드

- Leaf Node (Terminal Node) : Child Node가 하나도 없는 노드

- Sibling (Brother Node) : 동일한 Parent Node를 가진 노드

- Depth : 트리에서 Node가 가질 수 있는 최대 Level

 

 

이진 트리와 이진 탐색 트리 (Binary Search Tree)

- 이진 트리 : 노드의 최대 Branch가 2인 트리

- 이진 탐색 트리 (Binary Search Tree, BST) : 이진 트리에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조건이 있는 트리

  • 왼쪽 노드는 해당 노트보다 작은 값, 오른쪽 노드는 해당 노드보다 큰 값을 가지고 있다.

 

이진 탐색 트리의 장점과 주요 용도

- 장점 : 탐색 속도를 개선 가능

- 주요 용도 : 데이터 검색(탐색)

 

프로그래밍 연습

class Node:
    def __init__(self, value):
        self.value = value
        self.left = None
        self.right = None

        
class NodeMgmt:
    def __init__(self, head):
        self.head = head
    
    def insert(self, value):
        self.current_node = self.head
        while True:
            if value < self.current_node.value:
                if self.current_node.left != None:
                    self.current_node = self.current_node.left
                else:
                    self.current_node.left = Node(value)
                    break
            else:
                if self.current_node.right != None:
                    self.current_node = self.current_node.right
                else:
                    self.current_node.right = Node(value)
                    break
    
    def search(self, value):
        self.current_node = self.head
        while self.current_node:
            if self.current_node.value == value:
                return True
            elif value < self.current_node.value:
                self.current_node = self.current_node.left
            else:
                self.current_node = self.current_node.right
        return False        
    
    def delete(self, value):
        # 삭제할 노드 탐색
        searched = False
        self.current_node = self.head
        self.parent = self.head
        while self.current_node:
            if self.current_node.value == value:
                searched = True
                break
            elif value < self.current_node.value:
                self.parent = self.current_node
                self.current_node = self.current_node.left
            else:
                self.parent = self.current_node
                self.current_node = self.current_node.right

        if searched == False:
            return False    

        # case 1 : 삭제할 Node가 Leaf Node인 경우
        if  self.current_node.left == None and self.current_node.right == None:
            if value < self.parent.value:
                self.parent.left = None
            else:
                self.parent.right = None
        
        # case 2 : 삭제랄 Node가 Child Node를 한 개 가지고 있을 경우
        elif self.current_node.left != None and self.current_node.right == None:
            if value < self.parent.value:
                self.parent.left = self.current_node.left
            else:
                self.parent.right = self.current_node.left
        elif self.current_node.left == None and self.current_node.right != None:
            if value < self.parent.value:
                self.parent.left = self.current_node.right
            else:
                self.parent.right = self.current_node.right        
        
        # case 3-1 : 삭제할 Node가 Child Node를 두 개 가지고 있을 경우(삭제할 Node가 Parent Node 왼쪽)
        elif self.current_node.left != None and self.current_node.right != None:
            if value < self.parent.value:
                self.change_node = self.current_node.right
                self.change_node_parent = self.current_node.right
                while self.change_node.left != None:
                    self.change_node_parent = self.change_node
                    self.change_node = self.change_node.left
                if self.change_node.right != None:
                    self.change_node_parent.left = self.change_node.right
                else:
                    self.change_node_parent.left = None
                self.parent.left = self.change_node
                self.change_node.right = self.current_node.right
                self.change_node.left = self.change_node.left
                
            # case 3-2 : 삭제할 Node가 Child Node를 두 개 가지고 있을 경우 (삭제할 Node가 Parent Node 오른쪽)
            else:
                self.change_node = self.current_node.right
                self.change_node_parent = self.current_node.right
                while self.change_node.left != None:
                    self.change_node_parent = self.change_node
                    self.change_node = self.change_node.left
                if self.change_node.right != None:
                    self.change_node_parent.left = self.change_node.right
                else:
                    self.change_node_parent.left = None
                self.parent.right = self.change_node
                self.change_node.left = self.current_node.left
                self.change_node.right = self.current_node.right

        return True

충돌(Collision) 해결 알고리즘 (좋은 해쉬 함수 사용)

- 해쉬 테이블에서 가장 큰 문제는 충돌(Collision)의 경우이다.

 

① Chaining 기법

  • 개방 해싱 또는 Open Hashing 기법 : 해쉬 테이블 저장공간 외의 공간을 활용하는 기법

  • 충돌이 일어나면, 링크드 리스트라는 자료 구조를 사용해서, 링크드 리스트로 데이터를 추가로 뒤에 연결시켜서 저장하는 기법

hash_table = list([0 for i in range(8)])

def get_key(data):
    return hash(data)

def hash_function(key):
    return key % 8

def save_data(data, value):
    index_key = get_key(data)
    hash_address = hash_function(index_key)
    if hash_table[hash_address] != 0:
        for index in range(len(hash_table[hash_address])):
            if hash_table[hash_address][index][0] == index_key:
                hash_table[hash_address][index][1] = value
                return
        hash_table[hash_address].append([index_key, value])
    else:
        hash_table[hash_address] = [[index_key, value]]
    
def read_data(data):
    index_key = get_key(data)
    hash_address = hash_function(index_key)

    if hash_table[hash_address] != 0:
        for index in range(len(hash_table[hash_address])):
            if hash_table[hash_address][index][0] == index_key:
                return hash_table[hash_address][index][1]
        return None
    else:
        return None
print(hash('Dave') % 8)
print(hash('Dd') % 8)
print(hash('Data') % 8)
2
0
1
save_data('Dd', '1201023010')
save_data('Data', '3301023010')
read_data('Dd')
'1201023010'
hash_table
[[[-7654392602558696976, '1201023010']],
 [[-9146221194023993367, '3301023010']],
 0,
 0,
 0,
 0,
 0,
 0]

 

② Linear Probing 기법

  • 폐쇄 해싱 또는 Close Hashing 기법 : 해쉬 테이블 저장공간 안에서 충돌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

  • 충돌이 일어나면, 해당 Hash Address의 다음 address부터 맨 처음 나오는 빈공간에 저장하는 기법

      • 저장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법

hash_table = list([0 for i in range(8)])

def get_key(data):
    return hash(data)

def hash_function(key):
    return key % 8

def save_data(data, value):
    index_key = get_key(data)
    hash_address = hash_function(index_key)
    if hash_table[hash_address] != 0:
        for index in range(hash_address, len(hash_table)):
            if hash_table[index] == 0:
                hash_table[index] = [index_key, value]
                return
            elif hash_table[index][0] == index_key:
                hash_table[index][1] = value
                return
    else:
        hash_table[hash_address] = [index_key, value]

def read_data(data):
    index_key = get_key(data)
    hash_address = hash_function(index_key)
    
    if hash_table[hash_address] != 0:
        for index in range(hash_address, len(hash_table)):
            if hash_table[index] == 0:
                return None
            elif hash_table[index][0] == index_key:
                return hash_table[index][1]
    else:
        return None
print(hash('dk') % 8)
print(hash('da') % 8)
print(hash('dc') % 8)
3
5
2
save_data('dk', '01200123123')
save_data('da', '3333333333')
read_data('dc')

해쉬 구조

- Hash Table : 키(Key)에 데이터(Value)를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

  • 파이썬 딕셔너리 타입이 해쉬 테이블의 예 : Key를 가지고 바로 데이터(Value)를 꺼냄

  • 보통 배열로 미리 Hash Table 사이즈만큼 생성 후에 사용

 

알아둘 용어

- 해쉬 : 임의 값을 고정 길이로 변환하는 것

- 해쉬 테이블 : 키 값의 연산에 의해 직접 접근이 가능한 데이터 구조

- 해싱 함수 : Key에 대해 산술 연산을 이용해 데이터 위치를 찾을 수 있는 함수

- 해쉬 값(Hash Value) 또는 해쉬 주소(Hash Address) : Key를 해싱 함수로 연산해서, 해쉬 값을 알아내고, 이를 기반으로 해쉬 테이블에 해당 Key에 대한 데이터 위치를 일관성 있게 찾을 수 있음

- 슬롯(Slot) : 한 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

해쉬 테이블의 장단점과 주요 용도

- 장점

  • 데이터 저장/읽기 속도가 빠르다. (검색 속도 빠름)

  • 해쉬는 키에 대한 데이터가 있는지(중복) 확인이 쉬움   

- 단점

  • 일반적으로 저장공간이 좀더 많이 필요

  • 여러 키에 해당하는 주소가 동일할 경우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별도 자료구조가 필요

- 주요 용도

  • 검색이 많이 필요한 경우

  • 캐쉬 구현시 (중복 확인이 쉽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연습

hash_table = list([0 for i in range(8)])

def get_key(data):
    return hash(data)

def hash_function(key):
    return key % 8

def save_data(data, value):
    hash_address = hash_function(get_key(data))
    hash_table[hash_address] = value
    
def read_data(data):
    hash_address = hash_function(get_key(data))
    return hash_table[hash_address]
save_data('Dave', '0102030200')
save_data('Andy', '01033232200')
read_data('Dave')
'0102030200'
hash_table
['0102030200', 0, 0, 0, 0, 0, 0, '01033232200']

더블 링크드 리스트 기본 구조

  - 이중 링크드 리스트라고도 한다.

  - 장점

       양방향으로 연결 노드 탐색이 양쪽으로 모두 가능하다.

       링크드 리스트의 항상 앞에서부터 검색해야 되는 단점을 보완

 

이중 링크드 리스트 기본 구조

  - 노드는 앞뒤로 주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앞에서부터 검색할지 뒤에서 부터 검색할지 판단해서

    검색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중 링크드 리스트 구현

class Node:								# 노드 생성
	def __init__(self, data):
		self.prev = None
        self.data = data
        self.next = None

class NodeMgmt:
	def __init__(self, data):
		self.head = Node(data)
		self.tail = self.head
        
	def insert(self, data):				# 노드 추가
		if self.head == None:
			self.head = Node(data)
			self.tail = self.head
		else:
			node = self.head
			while node.next:			# while문이 계속 반복이 된다면 주소가 계속 존재함
				node = node.next		# 작업을 하는 이유는 노드의 끝을 찾기 위해
			new = Node(data)
			node.next = new
			new.prev = node
			self.tail = new
            
	def desc(self):
		node = self.head
		while node:
			print(node.data)
			node = node.next
            
	def search_from_head(self, data):	# 앞에서부터 검색
		if self.head == None:
			return False

		node = self.head
		while node:
			if node.data == data:
				return node
			else:
				node = node.prev
		return False
        
	def search_from_tail(self, data):	# 뒤에서부터 검색
		if self.head == None:
			return False

		node = self.tail
		while node:
			if node.data == data:
				return node
			else:
				node = node.prev
		return False

	def insert_before(self, data, before_data):		# before_data 값 앞에 데이터 생성
		if self.head == None:
			self.head = Node(data)
			return True
		else:
			node = self.tail
			while node.data != before_data:
				node = node.prev
				if node == None:
					return False
			new  = Node(data)
			before_new = node.prev
			before_new.next = new
			new.prev = before_new
			new.next = node
			node.prev = new
			return True
            
	def insert_after(self, data, after_data):		# after_data 값 뒤에 데이터 생성
		if self.head == None:
			self.head = Node(data)
			return True
		else:
			node = self.head
			while node.data != after_data:
				node = node.next
				if node == None:
					return False
			new  = Node(data)
			after_new = node.next
			new.next = after_new
			new.prev = node
			node.next = new
			if new.next == None:
				self.tail = new
			return Tru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