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2016년 1월 1일은 금요일입니다. 2016년 a월 b일은 무슨 요일일까요? 두 수 a ,b를 입력받아 2016년 a월 b일이 무슨 요일인지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요일의 이름은 일요일부터 토요일까지 각각 SUN,MON,TUE,WED,THU,FRI,SAT

입니다. 예를 들어 a=5, b=24라면 5월 24일은 화요일이므로 문자열 TUE를 반환하세요.

 

제한 조건

  • 2016년은 윤년입니다.
  • 2016년 a월 b일은 실제로 있는 날입니다. (13월 26일이나 2월 45일같은 날짜는 주어지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a b result
5 24 "TUE"

 

코드

import org.junit.Assert;
import org.junit.Test;

public class Q_12901 {
    public String solution(int a, int b) {
        String answer = "";
        int sum = 0;
        String[] week = {"SUN", "MON", "TUE", "WED", "THU", "FRI", "SAT"};

        for (int i = 1; i < a; i++) {
            if (i == 4 || i == 6 || i == 9 || i == 11) {
                sum += 30;
            } else if (i == 2) {
                sum += 29;
            } else {
                sum += 31;
            }
        }
        sum += b + 4;
        answer = week[sum % 7];

        return answer;
    }

    @Test
    public void 정답() {
        Assert.assertEquals("TUE", solution(5,24));
    }
}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1.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2.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3.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

 

입출력 예

array commands return
[1,5,2,6,3,7,4] [[2,5,3],[4,4,1],[1,7,3]] [5,6,3]

 

입출력 예 설명

[1, 5, 2, 6, 3, 7, 4]를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2, 3, 5, 6]의 세 번째 숫자는 5입니다.
[1, 5, 2, 6, 3, 7, 4]를 4번째부터 4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6]의 첫 번째 숫자는 6입니다.
[1, 5, 2, 6, 3, 7, 4]를 1번째부터 7번째까지 자릅니다. [1, 2, 3, 4, 5, 6, 7]의 세 번째 숫자는 3입니다.

 

코드

import org.junit.Assert;
import org.junit.Test;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Collections;

public class Q_42748 {
    public int[] solution(int[] array, int[][] commands) {
        ArrayList<Integer> answers = new ArrayList<>();

        for (int[] c : commands) {
            ArrayList<Integer> arr = new ArrayList<>();
            for (int k = c[0] - 1; k < c[1]; k++) {
                arr.add(array[k]);
            }
            Collections.sort(arr);
            answers.add(arr.get(c[2] - 1));
        }

        int[] answer = new int[answers.size()];
        for (int i = 0; i < answers.size(); i++) {
            answer[i] = answers.get(i);
        }

        return answer;
    }

    @Test
    public void 정답() {
        Assert.assertArrayEquals(new int[]{5, 6, 3}, solution(new int[]{1, 5, 2, 6, 3, 7, 4}, new int[][]{{2, 5, 3}, {4, 4, 1}, {1, 7, 3}}));
    }
}

 

풀이 방법

  • 짜른 값들을 ArrayList answers에 넣고 Collections.sort()를 사용해 정렬한 후 해당 인덱스를 ArrayList arr에 넣었다.
  • 그다음 배열로 전환해서 리턴하였다.

문제 설명

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학생의 수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전체 학생의 수는 2명 이상 30명 이하입니다.
  •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만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을 수 있습니다. 이때 이 학생은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당했다고 가정하며, 남은 체육복이 하나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

 

입출력 예

n lost reserve return
5 [2,4] [1,3,5] 5
5 [2,4] [3] 4
3 [3] [1] 2

 

입출력 예 설명

예제 #1
1번 학생이 2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고,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이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5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예제 #2
3번 학생이 2번 학생이나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4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코드

import org.junit.Assert;
import org.junit.Test;

public class Q_42862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lost, int[] reserve) {
        int answer = 0;
        int[] students = new int[n+1];

        for (int i = 1; i <= n; i++) {
            students[i] = 1;
        }
        for (int l : lost) {
            students[l]--;
        }
        for (int r : reserve) {
            students[r]++;
        }

        for (int i = 1; i <= n; i++) {
            if (students[i] == 0) {
                if (i-1 >= 1 && students[i - 1] == 2) {
                    students[i]++;
                    students[i - 1]--;
                } else if (i+1 <= n && students[i + 1] == 2) {
                    students[i]++;
                    students[i + 1]--;
                }
            }
        }

        for (int s : students) {
            if (s >= 1) {
                answer++;
            }
        }

        return answer;
    }

    @Test
    public void 정답() {
        Assert.assertEquals(5, solution(5, new int[]{2, 4}, new int[]{1, 3, 5}));
        Assert.assertEquals(4, solution(5, new int[]{2, 4}, new int[]{3}));
        Assert.assertEquals(2, solution(3, new int[]{3}, new int[]{1}));
    }
}

 

풀이 방법

  • 체육복이 없는 학생 0, 있는 학생 1, 여벌 보유 학생 2로 잡았습니다.
  • 먼저 체육복 없는 학생의 앞에 있는 학생이 여벌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을 합니다.
  • 그다음 체육복이 없는 학생의 뒤에 있는 학생이 여벌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합니다.
  • 그 이유는 만약 [ 2 0 2 0 1 ] 에서 2번째 학생이 먼저 뒤에 있는 학생한테 빌리게 된다면 [ 2 1 1 0 1 ] 이 되므로 4번째 학생은 못 빌리게 됩니다. 먼저 앞에 있는 학생한테 빌린다면 [ 1 1 1 1 1 ] 모든 학생이 수업을 들을 수 있게 되므로 앞에 있는 학생이 여벌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문제 설명

수포자는 수학을 포기한 사람의 준말입니다. 수포자 삼인방은 모의고사에 수학 문제를 전부 찍으려 합니다. 수포자는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 다음과 같이 찍습니다.

1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1, 2, 3, 4, 5, 1, 2, 3, 4, 5, ...
2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2, 1, 2, 3, 2, 4, 2, 5, 2, 1, 2, 3, 2, 4, 2, 5, ...
3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3, 3, 1, 1, 2, 2, 4, 4, 5, 5, 3, 3, 1, 1, 2, 2, 4, 4, 5, 5, ...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의 정답이 순서대로 들은 배열 answers가 주어졌을 때, 가장 많은 문제를 맞힌 사람이 누구인지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 시험은 최대 10,000 문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 문제의 정답은 1, 2, 3, 4, 5중 하나입니다.
  •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이 여럿일 경우, return하는 값을 오름차순 정렬해주세요.

 

입출력 예

answers return
[1,2,3,4,5] [1]
[1,3,2,4,2] [1,2,3]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수포자 1은 모든 문제를 맞혔습니다.
  • 수포자 2는 모든 문제를 틀렸습니다.
  • 수포자 3은 모든 문제를 틀렸습니다.

따라서 가장 문제를 많이 맞힌 사람은 수포자 1입니다.

입출력 예 #2

  • 모든 사람이 2문제씩을 맞췄습니다.

 

코드

import org.junit.Assert;
import org.junit.Test;

import java.util.ArrayList;

public class Q_42840 {
    public int[] solution(int[] answers) {
        int[] person1 = {1, 2, 3, 4, 5};
        int[] person2 = {2, 1, 2, 3, 2, 4, 2, 5};
        int[] person3 = {3, 3, 1, 1, 2, 2, 4, 4, 5, 5};

        int[] score = {0, 0, 0};

        for(int i = 0; i < answers.length; i++){
            if(answers[i] == person1[i%person1.length])
                score[0]++;
            if(answers[i] == person2[i%person2.length])
                score[1]++;
            if(answers[i] == person3[i% person3.length])
                score[2]++;
        }

        int max = 0;
        for(int i = 0; i < 3; i++){
            if(score[i] > max)
                max = score[i];
        }

        ArrayList<Integer> tmp = new ArrayList<>();
        for(int i = 0; i < 3; i++){
            if(score[i] == max){
                tmp.add(i+1);
            }
        }

        int[] answer = new int[tmp.size()];
        for (int i = 0; i < tmp.size(); i++) {
            answer[i] = tmp.get(i);
        }

        return answer;
    }

    @Test
    public void 정답() {
        Assert.assertArrayEquals(new int[]{1}, solution(new int[]{1, 2, 3, 4, 5}));
        Assert.assertArrayEquals(new int[]{1, 2, 3}, solution(new int[]{1, 3, 2, 4, 2}));
    }
}

 

풀이 방법

  • 문제를 찍는 방식의 일정한 패턴에 찍은 답의 개수가 다르므로 answers의 값들이 수포자의 정답 패턴 값들과 순차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 수포자[answers의 인덱스 % 일정한 패턴 답의 개수]를 for문을 이용하여 반복하면 일정한 패턴의 답의 순서에 맞추어 answers의 값들이 순차적으로 비교를 할 수 있다.

+ Recent posts